23년하반기 혁신지구 지역특화 사업선정내용
23년하반기 혁신지구 지역특화 선정내용
국토교통부는 23년 하반기 실현 가능성과 타당성 평가 등을 거쳐 사업목적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는 완성도 높은 곳을 선별하여 최종 20곳(혁신지구 1곳, 인정사업 3곳, 지역특화 16곳)을 선정하였다고 밝혔다.
(혁신지구) 산업·상업·주거 등이 집적된 지역거점을 조성하는 지구단위 개발 사업
(인정사업) 신속한 소규모 사업을 목적으로 활성화계획 수립없이 시행하는 점단위 사업
(지역특화) 중심·골목상권 활성화, 도시경쟁력 강화 등 지역 특색을 살린 사업
혁신지구는 광주광역시 남구 1곳이 선정되었고, 총 사업비는 1,560억원(국비 250억원)이 투입되고, 사업기간은 2024년~ 2028년으로 면적은 39,772.3㎡이다. 주요 내용은 노후 산단을 전장 정비인력 양성, 애프터마켓 스타트업 육성, 미래모빌리티 실감콘텐츠 체험, 일자리 연계 주택조성을 통해 애프터마켓 전과정에 대한 생애주기별 혁신기반으로 구축하여 산단 경쟁력확보 및 지역 경제 활성화시킨다는 것이다.
혁신지구 신청 사업 중 인천 동구, 충남 천안(서북구), 부산 서구는 후보 용지로 선정하여 ‘24년 계획 보완 추진할 예정이다.
인정사업은 총 3곳이 선정되었는데, 부산광역시 남구, 경기 김포, 전북 군산으로 기간은 2024년 ~ 2026년 이다.
부산 남구는 총 사업비 130억원(국비50억원)이 투입되고, 면적 2,446㎡이다. 주요 내용은 방치된 유휴 국유지를 활용, 대상지 내 부족한 공영주차장을 비롯하여 어린이·청소년·노인 등 가족 모두가 이용 가능한 복합문화공간조성으로 주민편의 증진을 도모한다는 것이다.
경기 김포는 총 사업비 200억원(국비50억원), 면적 4,806㎡이다. 복합문화교류센터를 조성하여 지역 내 부족한 기초생활인프라(생활체육시설, 공영주차장, 도시공원, 노인교실)를 향상시키고, 상호문화교류센터 리모델링 및 여울마당을 조성하여 문화복지 프로그램 및 창업교육을 지원하여 지역활성화를 도모하는 것이 주요내용이다.
전북 군산은 2,873㎡ 면적에 총 사업비 108.60억원(국비 50.0억원)이 투입된다. 지역관광자원을 활용한 건강관리 및 치매 예방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노인 건강증진과 노인거점공간 시설을 마련하여 지역 활성화 도모한다는 것이 주요내용이다.
23년하반기 혁신지구 지역특화 선정내용
지역특화사업으로 부산 사상구, 충남 태안, 전북 장수, 전남 무안, 경남 사천, 강원 동해가 상권활성화 부문에 지정되었고, 인천 서구, 울산 북구, 경기 연천, 충북 제천, 충북 괴산, 전북 남원, 경북 청도, 경남 의령, 제주 서귀포, 강원 평창이 도시브랜드 부문에 선정되었다.
참고로 혁신지구 사업 선정지인 광주 남구를 보면
사업목적은 송암산단의 기존 모빌리티 정비 자원과 광주시의 미래차 관련 시설 및 조직 등 인프라를 활용하여 친환경 미래차 전환에 대비한 모빌리티 애프터마켓 산업 육성 거점을 구축하고, 미래차 전환에 따른 신성장 기반을 위한 산업 및 전문인력 양성 등 신산업 복합 혁신지구를 구축하는 것이다.
내용을 살펴보면
① (모빌리티 복합허브센터) 광주광역시 내 기관들이 보유한 창의적 자원과 미래차 대전환의 추진동력 확보를 위해 미래차 전환을 위한 모빌리티 복합허브센터 구축
② (문화콘텐츠 테마파크) IP(Intellectual Property), AI와 실감 기술을 이용하여 애프터마켓 융·복합 시뮬레이션 공간으로 활용
③ (통합공공임대) 송암 산단 근무자, 복합허브센터 교육생, 기존 CGI센터 및 GCC 근무자 등을 위한 공공임대주택 조성
인정사업으로 선정된 부산 남구를 예로 보면
방치된 유휴 국유지를 활용하여 어린이·청소년·노인 등 가족 모두가 이용 가능한 복합문화공간 조성으로 주민 편의 증진 도모한다는 사업 목적을 가지고 있다.
사업내용
① (움직이는 숲) 부족한 어린이 및 청소년 놀이 시설 인프라 공급을 위한 수익창출이 가능한 실내 놀이공간 조성
② (체험의 숲) 초등학교 고학년, 중학생 이상이 함께 배우고 즐길 수 있는 미디어체험 공간 조성으로 학생들의 콘텐츠 제작·관리능력 향상
③ (문화의 숲) 노인들의 여가시간을 활용한 건강관리공간으로 활용하고, 지역주민들의 피크닉 체험 등 특별한 야외체험 기회 제공
④ (공영주차장) 지하주차장(18대) 및 1층 필로티주차장(18대)을 조성하여 부족한 생활SOC 시설 공급
[출처 : 국토교통부 - 보도자료]
23년하반기 혁신지구 지역특화 선정내용